홈 > 산행안내 > 산행안내
차량경유시간 |
차량경유지 |
06:00 06:10 06:20 06:22 06:30 06:40 06:50
|
고산문화센터 출발 만촌역 4 번출구 범어 하나은행 대구은행 본점역 1번출구 반월당 현대백화점 광장코아 용산역 5번출구 |
광양
|
10:00
14:00 |
의신마을 도착 후 서산대사길 트레킹
![]() ![]() 트레킹종료 화엄사 로 이동 |
14:30
16:00
|
화엄사 도착 화엄사 해설 및 탐방 ![]() 대구로 출발 | |
18:30 |
대구도착 나비산악회 와 함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안녕히 가십시요 |
서산대사길
서산대사(1520년~1604년)는 의신마을에 위치한 원통암에서 출가(1540년)休靜(휴정)이라는
법명을 얻었고 의신마을에 위치한 의신사에서 신흥사가 있던 신흥마을을 오가던
서산대사의 수행길이었으며 구도의 길이었고 대사의 발자국이 새겨진 옛길이다
구례 화엄사
문화재의 보고
수많은문화재와 아름다운 풍경의 불멸의 명작
백제시대
백제성왕 22년(544) 인도 스님이신 연기조사께서 대웅상적광전 과 해회당을 짓고 화엄사를 창건 후,백제법왕(599)때 3천여명의 스님들이 계시면서 화엄사상을 백제땅에 꽃피웠습니다.
신라시대
신라 선덕여왕 14년(645)에 자장율사가 부처님 진신사리 73과를 모시고 4사자3층 사리석탑과 공양탑을 세우셨습니다. 원효성사는 해회당에서 화랑도들에게 화엄사상을 가르쳐 삼국통일을 이루었습니다.
또 문무왕 17년(677)에 의상조사는 2층4면7칸의 사상벽에 화엄경을 돌에 새기고 황금장육불상을 모신 장육전 법당(지금의각황전) 과 석등을 조성하였다.
경덕왕(742~764)때 이르러 8원81암자로 화엄불국 연화장세계의 면모를 가추고,신라말기 헌강왕(875)때 도선국사는 동오층석탑과 서오층석탑 조성과 화엄사 중흥조가 되면서 화엄사가 대총림으로 승격되었습니다.
고려시대
고려태조26년(943)에 왕명으로 고려 최초의 화엄사를 주우하였고,경흥선사가 퇴락한 당우와암자를 중수하였다.
문종(1047~1083)때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중수, 인종(1126~1146)때 정인왕사가 중수,명종2년(1127)에 도선국사비건립,충렬왕(1236~1308)때 원소암중건,충숙왕(1313~1330)때 조형왕사에 의한 전면적인 보수를 하였습니다.
조선시대
세종6년(1426)에 선종대본산으로 승격된 화엄사는 배불정책의 와중에도 설웅,숭인,부휴,중관,무렴등의 고승대덕들에 의해 법석의 요람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임진왜란때는 호남의 간문 구례 석주관에서 승병 300여 명을 조직하여 왜군과 맞서 싸웠으나, 이 앙갚음으로 왜장 가등청정은 화엄사를전소 시키기에 이릅니다.
인조(1630~1636)때 벽암선사와 문도들이 대웅전 등 몇몇 건물을 중건하고,숙종(1699~1703)때 계파선사와 문도에 읭하여 장육전자리에 현존하는 목조건물로는 국내 최대규모를자랑하는 각황전 건립과 더불어 선교 양종 대가람이 되었고 ,근세에 이르러 도광대종사의 전면적인 중수에 힘입어 지금의 화엄사로 중흥 할 수 있었습니다.